마음을 다스리는 글

욕심을 비우면 마음보다 너른 것이 없고, 탐욕을 채우면 마음보다 좁은 곳이 없다.
염려를 놓으면 마음보다 편한 곳이 없고, 걱정을 붙들면 마음보다 불편한 곳이 없다.
-공지사항: 육아일기 등 가족이야기는 비공개 블로그로 이사했습니다.

2015년 1월 10일 토요일

일상속 유해물질, 프탈레이트 - 2015. 1. 11(일)

프탈레이트란 무엇인가?
1년에 81억kg 정도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이 물질은 가소제(plasticizer)로 널리 이용되는 물질이다. 실제로 생산되는 프탈레이트의 60%정도는 비닐의 가소제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개인위생용 제품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우리가 널리 이용되는 화장품이 피부 속으로 부드럽게 침투하도록 해주고, 향이 첨가된 제품에서 향기가 오래 가도록 해준다.

프탈레이트의 유해성(탈남성화)
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에서 남성의 생식능력에 영향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탈남성화) 음경의 아랫부분과 항문사이의 거리가 줄어드는 현상, 요도가 음경 끝까지 뻗어 있지 않고 중간쯤에서 끝나는 선천적 음경 결함(요도하열, hypospadias), 고환암, 정자 질 저하 등 (프탈레이트 신드롬)이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고환발육부전증(testicular dysgenesis syndrome, TDS)'의 유력한 원인 중 하나는 프탈레이트와 같이 호르몬을 교란하는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것이라고 밝혀지고 있다.

우리 체내의 프탈레이트
뉴욕 주 로체스터 대학교 산부인과 교수인 스원은 163명의 유아 소변에 함유된 프탈레이트의 농도를 조사하는 연구에 참여했다. 이 연구에서 80%가 넘는 아이들에게서 프탈레이트가 검출되었다. 그리고, 프탈레이트를 함유한 로션, 파우더, 샴푸에 노출된 아이들의 경우 소변에서 프탈레이트 대사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엄마가 이런 제품을 많이 사용할 수록 아이들의 소변에서 더 높은 농도의 프탈레이트가 검출되었다.

거의 10년에 걸쳐 미국인의 혈액과 소변 중의 오염물질을 조사해온 미국 질병통제센터(CDC)는 거의 모든 피험자가 다양한 종류의 프탈레이트와 그 대사물질을 체내에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유럽도 마찬가지였다.

우리 생활속의 프탈레이트
음식물.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프탈레이트 노출은 식품에 의해 이루어진다. 광범위하게 퍼진 일반적인 환경오염때문에 프탈레이트는 토양, 하천 등에서 모두 발견된다. 따라서 땅에서 얻는 식품의 상당수가 프탈레이트에 오염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식품의 가공과 포장에 의해서도 프탈레이트가 식품에 스며들 수 있다.

장난감. 미국 소아과학회는 어린이들이 프탈레이트가 함유된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들을 입에 넣거나 빨거나 씹을 때 체내로 흡수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경우 어린이의 체내에는 다른 모든 원인보다 10배나 많이 프탈레이트가 흡수된다고 한다.

화장품, 비누, 샴푸 등. 프탈레이트의 표시는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프탈레이트가 첨가되어 있다하더라도 성분에 표시된 제품은 거의 없다. 하지만 많은 경우 무슨무슨 '향 첨가'라고 표시된 경우 이것은 프탈레이트가 들어 있음을 알리고 있다고 보면 된다.

프탈레이트 피하기
프탈레이트에 노출되지 않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노출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그나마 긍정적인 사실 중의 하나는 프탈레이트는 체내에서 대사속도가 빠르므로 노출의 원천을 제거하면 빠르게 체내 농도가 줄어든다.

  1. 육류, 유제품, 가공식품을 피하고 신선식품을 먹는다.프탈레이트는 지용성이라 육류나 유제품에 들어있고, 채소나 야채에는 들어있지 않다.
  2. 프탈레이트가 들어있지 않은 화장품, 비누, 샴푸 등을 쓴다. 화장품 등의 성분 데이터베이스: http://www.ewg.org/skindeep/ 강한 인공 향이 첨가된 목욕용품을 피하라. 특히 '향 첨가'나 제품 성분에 '향료'가 적힌 제품을 사지 않는다.
  3. 플라스틱 사용을 자제한다. 포장재 등 플라스틱을 피하기란 정말 쉽지 않다. 되도록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며, 전자렌지에서 음식물을 가열할 때 절대 플라시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4. 방향제를 콘센트에서 치워라. 방향제가 상당수가 프탈레이트를 함유하고 있다.
  5. 집에 있는 장난감이나 사려는 장난감의 성분을 http://www.ecocenter.org/healthy-stuff 에서 확인해보자.
  6. 정부규제. 유럽과 미국에서는 만 3세 이하의 아이들용 장난감에는 프탈레이트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장난감 제조업체, 프탈레이트 제조업체에서는 여전히 프탈레이트가 무해하다고 주장하며 프탈레이트 금지법이 제정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양한 로비활동을 벌이고 있다. 소비자로서 우리는 프탈레이트의 유해성을 알아야하고 우리의 건강을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에 요구해야한다.

댓글 없음:

Lee, Jeong Ho

Lee, Jeong Ho
Biography: Bachelor: Computer Science in Korea Univ. Master: Computer Science in KAIST Carrier: 1. Junior Researcher at Korea Telecom (2006 ~ 2010) 2. Researcher at Korea Institute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Control (2010~)